|
“미 쇠고기 안전 못믿겠다” 91%
|
|
|
 |
그림. |
한우자조금관리위, 시민 287명 대상 설문조사
미국산 쇠고기의 안전성에 대해 국민 10명 중 9명 이상이 불안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가 유통 투명화, 국민 알권리 보호를 위해 준비한 음식점에서의 식육원산지표시제도에 대한 시민들의 불신도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한우자조금관리위원회(위원장 남호경)가 최근 시민 287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미국산 쇠고기 수입에 따른 소비자 인식 조사’에서 미국산 쇠고기의 안전 여부를 묻는 질문에 91%의 응답자가 ‘안전하지 않다’고 답변했다.
미국산 쇠고기가 안전하지 않은 이유에 대해 광우병의 위험이라는 응답이 40%로 가장 높았고 미국의 광우병 관리 미흡(32%), 한국 정부의 광우병 관리 불신(23.6%) 등이 뒤를 이었다.
정부가 오는 7일부터 음식점에서의 식육 원산지표시제를 확대 시행하는 점에 대해 92%의 응답자가 잘했다고 생각했지만 위반업소에 대한 단속활동이 효과가 있을 것이라는 응답은 16.7%에 그쳤고 효과 미비라는 응답은 51.5%에 달해 정부의 제도시행에 대한 불신이 적잖은 것으로 나타났다.
효과가 미비하다고 답변한 이유에 대해 45.1%는 ‘원가부담 때문에 위법인지 알면서도 지키지 않아서’라고 답변했고 ‘위반시 처벌 규정이 약해서’ 27.5%, ‘단속 공무원의 숫자가 너무 적어서’ 18.3% 등의 순으로 응답자가 많았다.
임봉재 한우자조금사무국 팀장은 “국민들은 원산지표시제에 대한 필요성은 공감했지만 정립되지 않은 제도로 인해 불안감이 고조되고 있다”면서 “수입 쇠고기의 둔갑판매를 막고 소비자 알권리 보호를 위해 쇠고기 유통체계의 정립과 원산지표시제 강화에 따른 실질적인 보완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
|
출처 : 농어민신문 2008년 7월 3일자 기사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