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뉴스

축산뉴스

 

한우 도축 늘면서 값 크게 떨어질 우려도
관리자 2009-10-06 1595


한우 도축 늘면서 값 크게 떨어질 우려도


그림.

지난해 하반기부터 상승한 한우값이 더 오를 요인은 없는 반면 사육마릿수 증가로 크게 하락할 우려가 있는 것으로 지적됐다.

지에스앤제이(GS&J)가 최근 축산업 연구 시리즈로 발간한 〈한우가격 급등, 유지될까 반전될까〉에서 이정환 이사장 등 연구자들은 “앞으로 한우값은 사육마릿수 증가에 따른 도축마릿수에 의해 좌우될 것”으로 내다봤다.

이 연구에 따르면 현재 사육마릿수는 앞으로 6개월 안에 도축될 대상인 2세 이상 수소가 지난 6월에 14만1,000마리로 1년 전인 2008년 6월 11만2,000마리보다 2만9,000마리(25.9%)나 늘었다.

이는 지난 3월의 12만9,000마리보다 1만2,000마리(9.3%), 2008년 12월의 11만9,000마리보다 2만2,000마리(18.5%) 증가한 수치다. 또 앞으로 6개월~1년 사이 도축이 예정된 1~2세 수소 마릿수도 지난 6월 32만3,000마리로 1년 전 28만2,000마리보다 4만1,000마리(14.5%), 3월에도 30만마리로 1년 전 25만7,000마리보다 4만3,000마리(16.7%)나 각각 증가해 6개월 이후에도 도축마릿수는 15% 정도 증가할 것으로 추정했다.

게다가 2세 이상 암소 사육마릿수도 6월에 92만3,000마리에 이르러 1년 전 88만7,000마리보다 3만6,000마리, 지난해 연말 87만5,000마리보다 4만8,000마리나 증가해 암소 도축이 늘면 공급량이 급증하면서 값 하락세를 부추길 가능성도 제기했다.

더욱이 8월의 인공수정마릿수가 14만5,000마리로 전년 같은 달보다 27.2% 늘어나 1996년 7월의 17만1,000마리 이후 최고치를 기록, 한우 번식의향이 급격히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분석은 지난해 하반기 이후 한우값 상승 요인이 △생산이력제 강화와 음식점 원산지표시 단속으로 쇠고기 안전성에 대한 불안감이 상당부분 해소됐고 △올 2·4분기 이후 경기회복과 도축마릿수 감소 등을 꼽은 데 따른 것으로 결국 앞으로 한우값은 도축마릿수 변화에 따라 결정될 수밖에 없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이 연구는 “한우값 상승요인은 소진된 반면 도축마릿수가 늘 수밖에 없으므로 값은 급격한 하락세로 전환될 가능성이 있다”며 “안정세를 유지하던 암소 도축률이 증가한다면 공급량은 더 빠르게 증가해 값이 급격히 하락할 위험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출처 : 농민신문 2009년 9월 30일자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