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계속 키워야 하나…” 속앓이
|
|
|
 |
한우농가들은 안심하고 소를 키울 수 있는 특단의 대책 마련을 정부 당국에 촉구하고 있다. |
광우병 논쟁 가열…지금 한우농가는
미국산 쇠고기 수입 개방 문제가 정치·사회적 광우병 논쟁에 휩싸이면서 정작 시급히 요구되는 한우를 비롯한 축산 농가의 지원대책은 뒷전으로 밀려나 농가의 불안감이 증폭되고 있다. 한·미 쇠고기 협상이 타결된 지 한달이 다 되도록 광우병 논쟁에서 벗어나지 못한 채 ‘광우병 괴담’까지 인터넷 등을 통해 걷잡을 수 없이 나돌자 소비자들이 쇠고기 자체를 꺼리는 부작용까지 나타나고 있다. 정부 당국과 정치권은 미국산 수입 쇠고기의 안전성 확보 및 검증 문제와는 별도로 벼랑 끝에 선 축산농가를 살리고 한우산업을 안정시키기 위한 특단의 대책 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한우농가 지원대책 실종=한우 60마리를 키우는 김학렬씨(49·경기 광주 실촌면)는 “한·미 쇠고기 협상타결이 광우병 논쟁으로 번지면서 송아지값은 물론 한우 고급육마저 값이 크게 떨어져 한우농가와 소비시장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면서 “상황이 이런데도 정부와 정치권은 광우병 논쟁과 공방에 갇혀 한우 사육기반을 안정시키기 위한 대책은 내놓지 않아 답답하다”고 말했다.
강원 횡성군 공근면에서 한우 140여마리를 사육하는 김일섭씨(48)는 “사료값 등을 빼고 나면 남는 게 없을 정도로 소값이 떨어진 상황에서, 미국산 쇠고기 수입 개방을 앞두고 소를 계속 키워야 할지 말아야 할지 고민”이라며 “농가들은 생존의 위협을 느낄 만큼 절박한 상황에 처해 있는데도 한우농가를 위한 대책은 광우병 논쟁에 밀려 뒷전”이라며 정부 당국에 불만을 토로했다.
김대현 강원 인제축협 조합장은 “한우농가에선 송아지든 큰 소든 간에 서둘러 내다 팔자며 우시장을 찾고 있지만 거래 자체가 안된다”며 “광우병 논쟁과 괴담이 한우값 하락을 더욱 부채질하고 있어 대책 마련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한우농가 이경연씨(54·전북 정읍시 칠보면 와우리)는 “사료값은 폭등한 반면 한우 소비 감소와 출하량 증가로 산지 소값은 폭락해 농가들이 이중고를 겪고 있다”면서 “하지만 최근 광우병 논쟁으로 온 나라가 떠들썩하다 보니 정작 미국산 쇠고기 수입으로 가장 큰 타격을 입게 될 축산농가의 목소리는 뒷전에 밀려 어느 누구도 관심을 갖지 않는 것 같다”고 불만을 털어놨다.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지원대책 내놔야=한우농가 유덕상씨(49·경기 안성시 대덕면·한국농업경영인 안성시연합회장)는 “정부가 한·미 쇠고기 협상 타결 대책으로 원산지표시제 확대와 도축세 폐지 등의 대책을 내놨지만 시장 상황은 오히려 악화되고 있다”면서 “이런 대책으로는 한우산업을 안정시키기 어렵고 한우농가들의 위기감도 증폭될 수밖에 없어 농가들이 안심하고 축산을 할 수 있도록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정부 대책이 나와야 한다”고 촉구했다.
한우농가 최부규씨(57·강원 홍천군 서석면)도 “광우병 논쟁이 계속된다면 한우 소비 부진, 가격 하락으로 사육기반이 무너지는 것은 시간문제”라면서 “다산장려금과 품질고급화 장려금의 부활, 사료안정기금 마련 등 농가를 위한 실질적인 대책을 마련할 것”을 강조했다.
최기환 전북 순정축협 조합장은 “정부가 한·미 쇠고기 협상 후속대책으로 이런저런 대책을 내놓고 있지만, 농가들이 근본적으로 경쟁력을 갖출 수 있는 대책으로는 미흡하다”면서 “최근 발표한 사료구입자금만 하더라도 지원조건이 까다로워 실제 자금을 지원받을 수 있는 농가는 거의 없는 만큼 정부는 10조~20조원 규모의 사료안정기금을 마련해 축산농가들이 실질적인 혜택을 볼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남호경 전국한우협회장은 “무엇보다도 농가 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는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면서 “농가 지원대책에는 반드시 예산 문제와 제도적 지원방안을 제시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
|
|
출처 : 농민신문 2008년 5월 14일자 기사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