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미국과의 재협상에 돌입하면서 미국산 쇠고기의 수입재개시기가 다가오고 있는 가운데 국내에 대기물량 중 냉장에서 냉동육으로 전환된 쇠고기에 대한 유통 투명성 확보가 시급하다는 지적이 고조되고 있다.
냉장육으로 들여와 작년 12월 냉동육 전환
유통기한 만료전 소비지 유입 가능성 높아
도시락 업소 등 단속 사각지대 관리 시급
수입업계에 따르면 2007년 10월 검역 중단 이후 국내에 대기하고 있던 물량 5300여톤 중 냉장육으로 수입됐던 물량의 경우 3개월간의 유통기한이 만료되기 직전이었던 지난해 12월경 냉동육으로 전환시켰다. 하지만 냉장에서 냉동육으로 전환시킨 고기의 경우 유통기한이 1년에 불과하지만 미국산 쇠고기 수입재개가 국민들의 반발로 지연되면서 향후 개방이 될 경우 자칫 유통기한이 임박한 물량들이 소비자들에게 전달될 우려가 높다.
경기 광주 A수입업체의 ㅇ씨는 “미국산 쇠고기가 들어와도 소비자의 저항이 크기 때문에 적어도 올해는 시장에 정착하기가 불가능하다”면서 “유통기한이 지날 경우 톤당 약 30만원의 소각비용이 발생하기 때문에 유통기한 전에 소진하는 방법을 최대한 찾을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그의 말처럼 미국산 쇠고기 재협상을 촉구하는 촛불집회가 한 달 넘게 진행되는 상황에서 미국산 쇠고기 수입재개 후 가장 먼저 시장에 쏟아질 대기물량의 경우 극심한 소비저항에 직면해 시장에서 외면받을 공산이 크다.
하지만 이익을 추구하는 수입·유통업자들이 쉽게 이 물량을 포기하기보다는 소비자들의 눈을 피해 유통시킬 가능성이 높을 수밖에 없다. 이는 한우 등의 둔갑판매는 물론 음식점원산지표시제의 사각지대인 도시락 판매업소 등으로 유통될 가능성이 적지 않다.
축산업계의 한 관계자는 “수입이 재개돼도 당분간 수입업자들이 유통시킬 곳은 그리 많지 않다”면서 “대부분 음식점 등에서 유통될 가능성이 높은 만큼 원산지표시제가 철저하게 이뤄지는 등의 단속이 진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