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우시황(6월17일~7월16일)
|
|
|
 |
그림. |
전반적 공급량 과다로 가격하락 불가피
도축두수·거세우 출하두수·냉장 수입 쇠고기 증가될 듯
미산 쇠고기 수입 위생조건과 관련해 국민의 쇠고기 안전성에 대한 신뢰저하로 인해 쇠고기 소비량은 위축되어 감소하고 있는 추세다.
향후 한육우 시세는 미산 쇠고기 재협상 여부 및 국민으로부터 쇠고기 안전성 신뢰 회복에 좌우될 것으로 보인다.
지난달까지의 누계 전국 경락시세 동향을 보면 전체적으로 전년동기대비 2.2~6.1% 하락하였으며, 특히 1++가 6.1%로 가장 많이 하락했으나, 평균가격대비 최고경락단가는 1++가 6천309원으로 그외 등급에 비해 약 1.7~2.0배의 차이를 보여 육질 및 고기의 품질에 따라 경락시세 차이가 많이 벌어지고 있다.
지난달 시세동향을 보면 최근 쇠고기 안전성과 관련해 정육 소비량이 감소하면서 3등급 및 비거세우 한우 가격이 크게 하락하고 있으며, 한우산업에 대한 불확실성 및 송아지 가격 하락 기대와 함께 송아지 입식을 자제하면서 송아지 가격이 전월 대비 약 8.5~9.0% 하락하는 추세를 보였으나 5월 상순을 지나면서 가격이 상승하고 있다.
특히 육우시세는 전월 대비 12.5~13.6%로 크게 하락했으며, 또한 한우 부산물(뼈, 우족 등) 가격이 20~30%의 큰 폭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향후 시세는 미산 쇠고기 수입의 여부가 관건이겠지만 향후 1개월간 예상 시세를 전망한다.
우선 공급적인 측면으로 ▲도축두수 증가에 따른 국내산 쇠고기 공급량 증가(도축두수 `08년 5월 누계 전년대비 110.0%, 한우 전년대비 116.5%) ▲한우 거세우 출하두수 증가(`08년 5월 누계 수소 중 거세우 출하비율 67.8%) ▲1++이상 등급 출현율 저하(5월 누계 : `07년 7.3%, `08년 6.8%) ▲쇠고기 수입량 증가 추세 4월 쇠고기 수입량 1만9천617톤(검역기준)으로 전월대비 125.1% 증가, 전년동월대비 131.2%( `08년 4월 누계 전년대비 89.1%) ▲냉장육 쇠고기 수입량 증가(`08년 4월 누계 17.3% - 전년동기 14.5%대비 2.8% 증가) ▲전체적인 쇠고기 생산 및 수입량 증가로 공급량이 과다 등이 예상된다.
수요측면에서는 ▲정육점 식당 증가로 인한 저등급육(2~3등급) 판매 활성화로 한우 소비층 증가 ▲음식점 원산지 표시제 확산에 따른 한우 소비량 증가 예상(안심, 채끝) ▲선호부위는 공급량 부족으로 인한 가격상승 및 비선호부위 정육공급량 과다 및 소비량 감소로 인한 가격하락 ▲미산 쇠고기 광우병 논란 여파로 인한 소비량 위축(2003년 광우병 발생이후 1인당 쇠고기 소비량 16.5% 감소(2003년 8.14kg 2004년 6.8kg 감소) ▲유통업체 추석물량 준비로 인한 수요 증가 등이 긍정적인 요인이 될 것이다. 반대로 ▲최근 물가상승 등의 어려움으로 소비가 위축으로 인한 소비량 감소가 부정적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다.
공급적인 측면과 수요적인 측면을 고려하면 전체적으
로 쇠고기 수입량 과다로 인해 가격은 하락할 것으로 예측되며, 고급육(1+이상)은 보합세로 예상된다. 한우 거세우 육질등급별 가격을 예상하면 지난 3개월 평균 지육단가 대비 고급육인 1++는 보합세 내지 강보합세, 1+~1등급은 보합세, 2~3등급은 약보합세로 예상이 된다.
또한 송아지 시세는 경매시장에 따라 크게 다르게 형성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경매시장과 우시장의 가격차이는 두당 20만~30만원 시세차이가 벌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향후 송아지 시세를 예측해보면 전국 평균 암송아지는 165만~175만원, 수송아지는 170만~185만원으로 예상할 수 있다.
반면에 비거세우 한우 가격은 생체 kg당 5천800~6천100원으로 약보합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
|
|
출처 : 농민신문 2008년 6월 14일자 기사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