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뉴스

축산뉴스

 

소규모 농가 정책 ‘홀대’···한우번식기반‘위기’
관리자 2009-03-24 1272


소규모 농가 정책 ‘홀대’···한우번식기반‘위기’


   한우산업에 근간이 되고 있는 소규모 번식 농가가 각종 정책지원에서 제외되는 등 홀대를 받으면서 번식 기반이 무너질 위기에 직면, 산업 전반에 악영향을 미칠 것이란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특히 최근 정부의 각종 정책이 규모화·전문화에 맞춰지면서 주로 브랜드 경영체나 대규모 비육농가 중심의 정책이 추진, 10마리 미만의 소규모 한우 농가는 정책의 사각지대에 내몰리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국내 한우 산업이 제대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송아지를 생산해 내고 있는 이들 소규모 번식 농가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와 지원책이 뒤따라야 한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김완영 한국농업대학 교수는 “번식농가는 소규모농가가 많아 비육농가보다 사정이 더 어렵다”며 “한우산업을 유지하기 위해 번식농가가 반드시 뒷받침을 해줘야 하는 만큼 이들을 위한 지원정책은 유지되야 한다”고 밝혔다.

장기선 전국한우협회 부장역시 “사료가격이 올라 번식농가는 송아지를 팔아도 남는 것이 없다”며 “정부에서 비육농가와 번식농가를 구분해서 보고 번식 농가를 위한 제대로 된 정책이 마련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또 소규모 번식한우농가도 장기적으로 개량에 동참할 수 있도록 우수한 송아지를 생산할 경우 그 만큼 차별화된 가격을 받을 수 있도록 제도화하는 등 나름대로의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의견이다.

김인필 경기한우협동조합장은 “번식한우농가가 분석·검정을 통해 우수한 송아지를 생산할 수 있는 제도를 만들어야 한다”며 “육종가를 평가해 좋은 암소가 낳은 송아지는 가격을 더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출처 : 농수축산신문 2009년 3월 20일자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