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미FTA 쇠고기 연계 ‘우려가 현실될라’
|
|
|
축산인·소비자, MB 방미에 촉각… “안전 문제는 협상대상 아니다” 강조
한미FTA체결 1년이 지난 최근 쇠고기 수입재개 문제가 다시 도마에 오르고 있다.
일부 언론이 ‘쇠고기 괴담’이라고 까지 말할 정도로 요즘 분위기가 심상치 않은 것만은 사실이다. 게다가 이명박 대통령의 방북 일정이 4월에 잡혀 있어 이를 전후해 미산 쇠고기의 검역이 재개될 것이라는 소문이 돌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이런 소문에 대해 한우업계와 소비자단체는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지금까지의 정황으로 봤을 때 한미정상회담을 전후해 쇠고기 검역을 열어 줄 것이라는 소문은 결코 무시할 수 없는 문제이지만 외교적으로 해결할 수 없는 안전성 문제를 쉽게 내어주는 것은 납득할 수 없다는 것이 이들의 입장이다.
한우협회 관계자는 “모든 정황이 심상치 않게 흘러가고 있다” 며 “미국의 무리한 요구를 강하게 뿌리치지 못하고 끌려가는 협상을 계속해온 정부를 지금으로서는 신뢰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생산현장에서도 이에 대한 불안감을 여지없이 드러내는 동시에 정부의 책임있는 태도를 촉구하고 있다.
경기북부한우조합 김인필 조합장은 “쇠고기 문제를 새로운 정권이 주고받기 식으로 원칙없이 다루는 것에 대해 농가들은 불안해 할 수 밖에 없다”며 “안전성에 대한 보장없이 미국 비위맞추기 식으로 진행되는 협상은 용납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한우협회 서울경기지역유통감시단 우영기 단장은 “경제인 출신 대통령이어서 인지 단순히 小를 희생해 大를 얻겠다는 식으로 외교를 하고 있는 것 같다”며 “한 가지 충고하고 싶은 것은 세계는 이미 식량 전쟁의 시대를 맞았고 축산물도 식량이라는 사실을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축산업을 포함한 농업을 단순 경제논리로 다루는 정부의 태도는 지금 당장은 농민들의 원성을 부르겠지만 장래에는 온 국민의 원성을 사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주부교실중앙회 김은주씨도 “소비자입장에서 식품안전성 차원에서 입증이 안 된 쇠고기 개방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며 “꼭 개방을 해야 한다면 이후 발생할 수 있는 식품사고에 대한 책임을 분명히 해야 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축산업계의 걱정 어린 시선이 신임 이명박 정부의 행보에 집중되고 있다.
|
|
|
출처 : 축산신문 2008년 4월 7일자 기사
|
|
|